1. 레퍼런스 분석 시작 전
제로베이스에서 강의를 들으며 과제를 하다보니 어느새 레퍼런스 분석의 날이 왔다..! 어떻게 할지는 아직도 감이 잡히지 않지만, 최선을 다해 해볼생각이다! 1주차에 작성을 했어야했는데 연휴도 껴있고 본가에 내려가다보니 조금 풀어졌던...
그만큼 다시 열심히 정신줄 붙잡고 시작해보려 한다.
2. '세탁 특공대' 레퍼런스
우선 나는 '세탁특공대'라는 어플을 분석해 볼 예정이다.
내가 이 어플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 그 당시 집주변에 신발 세탁을 해주는 곳이 마땅치 않아서였다. 그런 고민을 안고
핸드폰을 하다가 우연히 세탁 어플을 알게 되었고 들어가서 사용해보았다.
처음 사용해본 사람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Selling point/Pain point를 알아 보았다.
3. Selling point / Pain point
Selling point
1. 이용 방법과 가격표가 크게 소비자들이 잘 보이는 화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 좋았다.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은 들어가서 이용방법을 확인 한 뒤에 어떻게 진행 되는지 알 수 있었고,
가격표를 보면 크게 일반, 프리미언, 수선으로 가격표가 나뉘어져 있고,
오른쪽 끝에는세특패스회원의 가격과 일반회원 가격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구분 되어있다.
2. 하단 네비게이션 바는 홈,주문내역,마이세특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홈 화면에서 '이런 서비스는 어때요?'를 통해
이용자들이 더 세분화 된 세탁서비스를 확인 할 수 있으며 홈화면 하단에는 실시간 이용후기를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이용후기 창 안에 닉네임 옆에 주문 몇회차가 적혀있다는 점이 특이해서 신선했다.
3. '세탁 신청'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첫번째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서 맞춤세탁과 프리미엄 케어화면은 이미지와
같이 다른 화면이 나타난다. 프리미엄 케어화면에서는 사진을 필수로 찍어 세탁할 물건 상태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 할 수 있도록 만든점이 신선했다. 세탁물을 선택하고 난 뒤 주문정보 확인창에는 일정이 포함 되어 언제 받을 수 있으며 소비자는
언제까지 집앞에 내어두면 되는지 알 수 있었다.
Pain point
1. 이용했을 때 불편했던 점은 세탁 신청을 했을 때 화면창에 내가 어떤 세탁물을 신청하는지 확인 할 수 없어서 여러번 뒤로가기를 하고 다시 들어가고를 반복하였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어서 불편했고 결국 불안한 마음을 안은채
세탁 신청 완료 버튼을 누르고 나서 세탁물을 수거해가는 업체에서 신발임을 판단하고, 주문진행내역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로써 이러한 부분에서는 어떤 수거물인지에 대한 선택창을 주어서 가시적으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바꾸면 좋았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2. '세탁특공대'어플 화면에서는 '런드리고'처럼 서비스 가능지역을 확인 할 수 있는 창이 없었다.
'세탁특공대'에서는 세탁 신청을 눌러야지 이미지와 같은 창이 떠서 확인 할 수 있었다는 점은 수정해야할 요소 중에
하나라고 생각되었다.
4. 느낀점
나의 첫 레퍼런스는 이렇게 끝이 났다. 레퍼런스를 시작하고 보니 생각보다 Selling point/Pain point들을 찾는게
재미있었고, 조금더 어플에 대해 분석하고 '소비자가 불편한점은 무엇일까?' 생각하다보니 내가 써봤던 어플중에 하나를
선택하였다. 첫레퍼런스는 이렇게 끝이났지만 두번째는 어떤 어플을 해볼까 생각하며 조금 들뜨기도 한다!
'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UX_2주차_학습일지_1 (0) | 2024.02.16 |
---|---|
UIUX_2주차_레퍼런스분석 (0) | 2024.02.16 |
UIUX_1주차_학습일지_3 (4) | 2024.02.14 |
UIUX_1주차_학습일지_2 (4) | 2024.02.08 |
UIUX_1주차_학습일지_1 (2) | 2024.02.05 |